| 
              
              
                | 
                    
                    
                      |   |   *도서명 
                                    : 고속도로 주유원의 일기 *지은이 
                                    : 황 호 민 *발행처 
                                    : 한솜미디어 *쪽 
                                      수 
                                    : 144쪽  *판 
                                      형 
                                    : B6(사륙판) *정 
                                      가 
                                    : 8,000원 *출판일 
                                    : 2005년 7월 25일 *ISBN 
                                      : 
                                    89-5959-002-002 9 93810 |  |  
              
              
                |  이 
                        책은? 
 
                            월간 
                            <신동아> 제37회 1,000만원 고료 논픽션 최우수 
                            당선작이다. 본 도서는 지금까지와의 장르를 달리하고 
                            고발문학으로서 설자리를 확보한 도서라고 말 할 수 
                            있다.
 전편에 잔잔하게 흐르는 따뜻한 시선과 숨결이 
                            느껴지며 삶의 관조와 사람살이의 깊이를 엿볼 수 있다.
 |  
                |  책속으로...
 
                            이번 
                            여름은 경제사정도 어려워졌고 날씨도 예년보다 서늘한 
                            편이라 피서인파가 줄겠거니 기대한 주유원들의 소박한 
                            꿈은, 기가 막히게 날을 잡은 ‘피서철 특별 비상근무’가 
                            시작된 첫날 사정없이 깨졌다.  기름을 넣기 편리하게 
                            차를 잘 대주기만 해도 일하기가 훨씬 수월할 터인데, 
                            운전자가 일단 주유소에 들어서면 주유원이 굽실굽실거리며 
                            다 해줄 줄 알고 있어 제멋대로 차를 세우는 통에 유도하기도 
                            꽤 힘이 든다. 
                             
                            주유 
                            중에 운전석에서 내려 꼼꼼히 지켜보는 야무진 운전자는 
                            극소수이고, 대부분 운전석에 그대로 앉아 고개만 쏙 
                            내밀거나 백미러를 통해 확인하고 요금 계산을 한다. 
                            그나마도 뒤에 차가 밀려있건 말건 느릿느릿 행동하므로 
                            우리는 더 안달이 나기도 한다. 
                             
                            심지어 
                            주유원이 눈치 챌 사이도 없이 차에서 빠져나가 화장실에 
                            가서 한참 만에 돌아오면 그 사이 우리는 허둥지둥 
                            그 사람을 찾아다니거나, 볼이 부어 있는 다음 차 운전자에게 
                            제 잘못인 양 죄송하다며 양해를 구하고 후진했다가 
                            앞으로 빼도록 부탁한다. 다 정리되면 화장실 갔던 
                            운전자가 의기양양해서 나타나니 얄밉게 보일 수밖에 
                            없다.
                             
                            “화장실 
                            가시려면 주유 마치고 한쪽에 댄 다음 가셔야지요. 
                            다음 차가 밀리지 않습니까?”라고 책망하면, 
                            “오줌 
                            마려서 싸겠다는디 어디 그럴 틈이 있남유? 이건 완전히 
                            생리적 현상이유, 생리적 현상!”이라고 능청을 떨기도 
                            한다. 
                             
                            이런저런 
                            이유로 주유순서가 어긋나 뒤차가 먼저 끝날 때가 있는데 
                            그럴 땐 몇 분을 기다리지 못해 수선을 피우는 통에 
                            주유원과 근방의 사람들은 짜증날 수밖에 없다. 그렇듯 
                            차량이 많아지면 더욱 바빠질 것을 뻔히 알면서도 기가 
                            죽기보다 담담해지는 주유원의 미묘한 표정은 경력이 
                            주는 달인의 징표가 아닐까?
                         - 
                        <분문> 중에서   |  
                |  출판사 
                        서평 
 
                                -고발문학으로서 
                            설자리 확보
                                ‘고속도로 
                            주유원의 일기’는 일용직 근로자에 대한 부당 대우와 
                            비리, 운전자 일반이 일구집는 갖은 
                                작태 
                            등을 속도 있고 해학적이고 풍부한 상식으로 꾸려내 
                            감동을 준다. 부정적 시선으로 일관하기 
                                십상일 
                            내용을 객관적 시각으로 담아냄으로써 체험수기가 고발문학, 
                            증언문학으로서 설자리를 확보
                                하고 
                            있다. 
                            
                                     - 
                                김국태(소설가, 추계예술대 교수)
                                
                                -따뜻한 
                            시선과 숨결
                                소재가 
                            우리 일상 속의 흔하디 흔한 주유소이고, 시선이 따뜻하고 
                            글쓴이의 숨결이 느껴져서 좋았다. 
                                논픽션 
                            역시 감동은 현실을 보는 ‘눈’과 ‘태도’에서 나오는 
                            것이다.
                            
                                     - 
                                유시춘(소설가,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
                                
                                -삶의 
                            관조와 사람살이의 깊이
                                황호민의 
                            ‘고속도로 주유원의 일기’가 돋보인다. 세태를 보는 
                            필자의 눈이 담담하고 따뜻하다. 
                                여기서 
                            ‘따뜻함’이란 ‘미화’와는 전혀 다른 의미다. 세상살이를 
                            보는 깊은 눈이다.
                            
                                     - 
                                전진우(동아일보 논설위원 실장)
                             |  
                |  이 
                        책의 차례 
 
                            당선소감 
                            _4
                             
                            고속도로 
                            주유원의 일기_9
                            재떨이 
                            좀 비워주세요_14
                            일당 
                            3만원_ 17 
                            밤에 
                            당당해지는 주유원_21
                            “주유하다 
                            출출하면 드셔라”_26_
                            휘발유값 
                            떼먹은 신사_ 31
                            사은품 
                            받으려는 행렬_36  
                            차 
                            수리 소개비로 부수입_ 40  
                            “월급은 
                            얼마나 받아?”_45  
                            “뭐 
                            안 사왔어?_49
                            장의차 
                            주유하면 재수 좋아_54 
                            아내와 
                            딸 감춘 ‘노총각’_58
                            사은행사 
                            도우미들의 프로근성_ 63  
                            영어 
                            한마디_68
                            소장 
                            나오라고 해!”_72
                            되돌아온 
                            택시 기사_77
                            기름 
                            뒤집어쓴 찰리 채플린_82
                            미모의 
                            김양에 대한 기억_85 
                            밀려오는 
                            먹구름_ 90  
                            머리에서 
                            피어오르는 하얀 김_96
                            뒤바뀐 
                            연료통 뚜껑_102
                            “이것도 
                            인연인데 차라도 한 잔”_107 
                            귀신 
                            나오는 방_ 112 
                            휴게소와 
                            주유소의 통합_116
                            변기 
                            하나에 수십 명 몰려_121  
                            “누구는 
                            놀러 다니고 누구는 기름 넣고”_125
                            정체불명의 
                            기름_ 130
                            스님의 
                            영수증_134 
                            뜻밖의 
                            통보_139  
                             
                            심사평_143
                         |  
                |  이 
                        책의 지은이
 
                            - 
                            1959년 충남논산에서 태어남- 공주사대부고 충남대 축산과 졸업
 - 강경종로학원 
                            원장, 중부고속도로 주유소 주유원
 - 현재, 충북음성 
                            (주)대영에너지 가스안전관리자로 근무중.
 * 
                        본 도서는 교보, 영풍문고 등 전국 유명서점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  
  
  
    | 도서출판 
                        띠앗, 도서출판 한솜미디어(우:143-200)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243-22
 대표전화 : 02-454-0492 | 팩스 : 02-454-0493
 copyright (C) 
1997-2002 ddiat, Hansom Inc.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