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명
: 가까운 듯 먼 그리움
*지은이
: 김 성 덕(국립 한밭대학교 교수)
*발행처
: 도서출판 띠앗
*쪽
수
: 135쪽
*판
형
: B5(시집판형) / 반양장본
*정
가
: 5,000원
*출판일
: 2002년 11월 15일
*ISBN
: 89-89558-58-1 03810
|
|
- <시평>
“인간이
사는 또 하나의 작은 세계”
- - 김태일(작가.
풍자문학 발행인 겸 편집인) 씀
-
- 늦은 저녁부터 김성덕
님의 시를 읽고 새벽을 반갑게 맞이했다. 처음 필자에게
조심스럽게 자신의 시 세계를 물어왔을 때 한편으로
무척이나 당혹해 했었다. 너무도 겸손한 그에게 실언이나
하지 않을까 해서였다. 그래서 말 한 마디를 할 때에도
단어의 선택에 심중을 기해야만 했다.
- 그는 필자가 ‘시인의
말’을 쓰라고 했을 때 자신은 아직 시인이 아니라고
하며 ‘시인의 말’ 대신 ‘그리움을 열며’로 시인의
말 대신 적어왔었다.
- 하지만 그의 시는
한 마디로 인간이 사는 또 하나의 작은 세계였다.
- 태초의 신이 있었다.
그리고 신은 세상과 인간을 만들었다. 그 세상 속에서
인간들은 부딪기며 살게 할 상대의 인간을 만들어 주었다.
그들은 사랑과 꿈 그리고 그리움, 이별, 만남 등 복잡한
삶을 잉태했다. 그 가운데 인간들은 한 단어에 맞게
하루가 다르게 살고 있다. 그리움이 있으면 “가까운
듯 먼 그리움”도 있었다. 김성덕 님의 <가까운
듯 먼 그리움>에는
-
- 불빛들이 꼬박
밤새워
- 보일 듯 보일
듯 비치고 있는
- 도시, 거친 숨소리를
잠재워
- 아스라한 보석의
동산을 만든다.
-
- 불빛은 "아스라한
보석’의 동산"을 만들었다. 고층빌딩으로 둘러싸인
도시의 숲만을 연상케 하는 이들에게 ‘보석의 동산’은
상경한 단어일 수도 있다. 하지만 다닥다닥 붙은 게딱지
하늘아래 첫 동네를 본 사람들은 이 불빛은 인간의
애환으로 점철 될 것이며, 아파트에서 터를 잡은 철부지
어른들은 고층 아파트를 연상할 수도 있다. 어쨌든
그 안에서 그리움과 사랑을 나눈다.
-
- 가슴깊이 숨겨놓은
그리움
- 긴 세월 나와
함께 한 걸 잊고서
- 만나도 할 말이
없을 터이나
- 가끔 보고도
싶은데
- 세월이 지나가며
- 그리움, 그것은
별게 아니라네.
- ― <삼십
년 지난 뒤> 부분
-
- 누구에게나 삶이
있다면, 아니 사람을 만났다면 그리움은 남는다. 그것도
그리움의 상대는 영원히 가슴 깊이 묻어두고 싶은 게
우리네 마음이다. 언젠가 그것을 "삼십 년이 지난
뒤"에 가슴속에서 끄집어내어 다시 떠올린다면,
누구나 마음 설레게 한다. 그래서 늘 그리움은 꿈이
되어 강한 사람들을 가냘프게 한다. <봉숭아>에서는
-
- 몰래 한 사랑을
눈치챌까봐
- 잎사귀에 묻은
밤이슬을 털고
- 꽃잎 활짝 열어
시치미 떼었는데
- 오늘, 장독들
틈으로
- 온밤을 뜬눈으로
지새며 훔쳐보던
- 하얀 조각달이
보였다
-
- 봉숭아꽃의 만개가
눈부시다. 몰래한 사랑을 우리는 가슴에 그리움으로
남긴다면 봉숭아의 의인화는 하얀 조각달이다.
- 그런가하면 <두
아버지>에서 부모의 심정을 이렇게 노래했다.
-
- 태풍이 지나간
날, 오랜만에
- 아버지께 문안
전화를 드렸다
- 늘 일상으로
묻는 "저녁 드셨어요?"
- 적적해 이것저것
말씀이 많아지신 걸
- 한 귀로 들으면서
- TV에서 수재민의
보도를 보며
- 군대 간 아이
생각에 젖어 들었다.
-
- 아버지는 늘 그랬다.
어머니가 집 나간 아들을 말로 걱정표현하면 아버지는
묵묵히 대문 쪽을 바라보신다. 두 아버지는 아버지의
아버지를 생각하게 하고 나를 다시 되돌아볼 기회와
부모라는 정신적인 대지주의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 또 다른 세계로의
나래를 편다. 그 세계는 바로 <피안(彼岸)의 세계>이다.
-
- 예불소리 은은하게
들리는
- 山寺가는 길,
계곡에는
- 빛 고운 가을로
가득 차 있습니다.
- 나는
- 발밑에 누운
단풍잎 하나를 주워
- 작은 연못에
띄웁니다
-
- 종교가 있다. 그래서
우리는 이승의 번뇌를 해탈하여 열반의 세계에 도달하려고
한다. 그러나 그 세계는 바로 우리의 마음이다. 우리의
마음을 새롭게 만들어 주는 김성덕 님의 시가 있다.
- 이 가을, 거리에
먼지처럼 바람 따라다니는 낙엽을 주어 작은 연못에
띄우는 마음을 읽는다. 눈물나도록 높은 하늘을 가진
가을의 메시지를….
|
- 책속으로...
-
- 세상은 넓고 세월은
무궁합니다만, 유독 나는 이 시대에 이 땅에서 태어나
살아갑니다.
- 첫 세상에 어머니와
아버지를 만나고 형제를, 아내를, 아이를, 친구를
- 그리고 수많은 다른
이들을 만납니다.
- 사랑하고 그리워하고
행복해하고 때로는 시기하고 질투하고 아파하면서도…
- 나의 어미니도 나의
고향은 물론, 나를 스쳐 지나갔던 그저 그런 이들까지
- 어느 때인가는 소중한
모습으로 그리워지니 참 모를 일입니다.
-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 보니 알 것도 같습니다. <이하 생략>
-
- -
시인의 말 <그리움을 열며> 중에서
|
- 시인
소개...
-
- 1951년 경기 남양
출생
- 현재, 국립 한밭대학교
교수
- e-mail: sdkim@hanbat.ac.kr
-
- Tel: 042)821-1135(연구실)
|
도서출판
띠앗, 도서출판 한솜미디어 (우:143-200)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243-22 대표전화 : 02-454-0492 | 팩스 : 02-454-0493 copyright (C)
1997-2007 ddiat, Hansom Inc.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