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명
: 가시꽃
*지은이
: 한 기 주
*발행처
: 도서출판 띠앗
*쪽
수
: 104쪽
*판
형
: A5(시집판형) / 반양장본
*정
가
: 6,000원
*출판일
: 2008년 11월 30일 <홈으로 가기>
*ISBN
:
978-89-5854-059-5 03810
|
|
- 이
책은?
-
- □
발문
-
- 자연을
닮은 영혼의 시(詩)가 있는 작품
- ―
김태일(작가·풍자문학 발행인 겸 편집인)
-
- 한기주
시인의 첫 번째 작품 <우리가 살아간다는 것은>의
발문을 부탁받고 졸필을 지면에 더한 지도 어느덧
6년이 흘렀다.
- 또
다시 한기주 시인은 필자에게 두 번째 영광을 주었다.
나름대로 사양의 눈빛을 보냈지만 일부러 바쁜 시간을
내서 필자를 찾아와 부탁하는 바람에 거절하지 못했다.
-
- 그의
첫 번째 시집에서는 고향의 향수를 부르는 수줍음을
담았다면 이번 두 번째 작품 <가시꽃>에서는
자연을 닮은 인간을 노래했다.
- 당나라
시인 백거이도,
- “시란
정(情)을 뿌리로 하고 말을 싹으로 하며 소리를 꽃으로
하고 의미를 열매로 한다”라고 했다. 바로 한기주
시인의 작품에서 우리는 그것을 느낄 수 있다.
-
- 그의
시는 이렇게 시작하고 있다.
-
- 꽃을
노래하고
- 꽃을
그리며
- 시를
짓는 일은
- 꽃을
모를 때에만 가능한 일이다.
- ………
- 꽃이
되고자 하는 님들의 정원에
- 작은
씨앗이 되었으면 하는
- 바람으로…
-
- 꽃을
노래하는 시인의 마음에 정이 뚝뚝 묻어난다. 그러면서
수줍게 꽃을 모른다고 하며 시를 짓는다. 자연을 너무도
닮아 겨울의 솔잎 향처럼 신선하다.
- 시인은
온 세상을 아름답게 볼 줄 아는 마음의 창을 누구보다도
활짝 열어놓았다. 그래서 이 세상의 온갖 어려움을
혼자 희생양이 되어 작은 씨앗으로 거듭 태어나기를
바라면서 첫 장부터 휴머니즘을 노래하고 있다.
-
- 오르기
힘겨워
- 버리고
간 욕망들
- 하나
- 둘
- 쌓여,
-
- 탑이
되었다
- <시
‘용문사 가는 길’ 전문>
-
- 인간의
욕망은 끝이 없는 법, 그 욕망의 늪에서 허덕이는 우리
인간을 너무도 간결한 시어로 완벽하게 그렸다.
- 누구나
산을 찾고 신성한 곳을 찾을 때는 속세에 찌든 때를
버리고 마음을 비우기 위해서일 것이다. 그러나 막상
돌을 하나 주워 탑을 쌓으면서 또 다시 간절한 바람을
외치는 게 인간의 자화상이리라.
- 그
욕망의 끝은 어디인지, 그것은 진정 신(神)만이 관장할
수 있는 문제일까?
-
- 하지만
여기서 우리는 시인의 넉넉함을 <안양천 오리>를
통해 감상해 본다.
-
- 안양천
오리는 집이 없어 좋겠네
- 꼭
돌아가야 할 집이 없어 좋겠네
-
- 안양천
오리는 날아가 앉는 곳이 집이라
- 집이
너무 많아 좋겠네
-
- 안양천
오리는 집이 없어 좋겠네
- 황금빛
날개 접어야 할
- 집이
없어 좋겠네
-
- 시인은
삶에 찌든 우리에게 희망을 주고 있다. 서민에게 집이란
평생의 목표이리라. 그런 집이라는 요원한 틀에서 좀더
여유로움을 주는 작품이 독자로 하여금 새로움과 희망으로
충만하게 한다. 집을 노래하면서도 황금빛 날개를 접어야
할 집이 없어 좋겠다고 외치는 시인의 마음이 너무도
진솔하게 마음에 와 닿는다.
-
- 그런가
하면 시인은 <가시꽃>에서는 전혀 다른 환경을
노래하기도 한다.
-
- 장미는
자신의 이름다움을
- 몰랐겠으나
- 사람들의
탐욕스런 눈과 손끝을
- 경계하여
- 가시를
세우기 시작했다
-
- <중략>
-
- 가시도
님을 만나 사랑이 깊으면
- 꽃으로
피는 법이다.
-
- 아마도
누군가 필자에게 삶을 묻는다면 한기주 시인의 <가시꽃>을
읽어보라고 말하리라.
- 끈끈한
인간의 삶이 너무나도 잘 농축되어 있다. 본래
인간은 누구다 다 똑같이 태어났다. 최초에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았다. 하지만 삶이라는 수레바퀴 속에서
돌고 돌다 보니 자신을 보호할 방패가 필요했으리라.
그래서 모든 이가 환경에 따라서 그 모습을 달리하고
있는 게 아닌가. 그것을 시인은 너무도 잘 말하고 있다.
- 인간은
살아가면서 처한 환경에 따라서 장미의 아름다운 꽃만
보는가 하면 몸통이 가시만을 보기도 하리라. 하지만
장미의 아름다운 꽃과 가시에서 우리는 인간의 내면을
들여다볼 수 있다.
-
- 이쯤에서
꽉 채워진 마음을 비워보는 것도 묘미가 있다. <민들레
홀씨>에서 시인은 이렇게 감탄사를 연발하고 있다
-
- 놀라워라!
-
- 삶의
끝이
- 이
- 토
- 록
- 가
벼 울 수 있 다 니 …
-
- 참으로
놀라운 발상이다. 진정 놀랍다. 아니, 놀랍다기보다는
시인이 노래한 목숨 줄이 이렇게 간결할 수가 있다니….
마음을 비운 인간은 초연해지는 법이다. 마치 수도승처럼
말이다.
- 그렇게
아등바등 밀고 댕기고 밟고 위로 올라가려는 인간 군상들을
단 한 소절로 그 맥을 아름답게 끊었다.
- “자연과
인간은 하나다”라는 말이 실감이 나는 작품이다. 민들레
홀씨에 인간의 삶이 담겨져 이리저리 부평초처럼 떠도는
게 우리네의 모습을 바로 눈앞에서 보는 듯하다.
-
- 삶에
있어 같은 길은 없다
- 내가
지나온
- 길은
어느 누구도 똑같이 밟을 수 없으며
- 나
또한
- 어느
누구의 발자국도 똑같이 밟을 수 없다
- 같은
곳을 지나가는 수많은 사람들
- 발자국은
모두 다르다
- <‘같은
길은 없다’ 전문>
-
- 누군가
“인간의 삶은 연습이 없다”고 했다. 현재가 죽음이
될 수도 새 생명이 태어나기도 한다. 이 작품에서 인간들의
각자의 갈 길이 다름을 잘 말해주고 있다. 어떻게 보면
혼자 고독하게 개척의 길을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
그래도 시인은 용기의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의도가
잘 나타나 있다.
- 그래서
그의 <친구를 찾습니다>에서는 잠시나마 동심으로
돌아가는 행운의 분위기도 뜻하지 않게 만끽할 수 있다.
-
- 무궁화꽃이피었습니다
- 무궁화꽃이피었습니다
- 무궁화꽃이피었습니다
- 무궁화꽃이피었,
-
- 단
몇 소절로 끝을 맺고 있는 이 작품에서는 우리는 그동안
저 깊은 곳에 자리하고 있던 추억을 찾아 걷는다. 그래서
인간은 누구나 다 아름답다. 그것은 각자의 삶이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
- 누구나
“어머니”라는 단어만 떠올리면 마음 한 켠이 짠하고
횅하다. 한기주 시인의 참 작품은 <어머니의 회초리>에서
잘 나타나 있다.
-
- 이제야
알겠다
- 그날,
- 나를
움켜잡은 어머니가 손에 힘을
- 왜
서서히 풀으셨는지
- 두서너
대 맞기가 무섭게 나는
- 냅다
동네로 도망을 치고
- 해가
저물어
- 눈치를
살피며 앉은
- 밥상머리
- 그날따라
나의 밥그릇에 밥이
- 왜
그리 수북했는지
- ―
이제야 알겠다
- 서러운
마음을 진정시키며
- 일찌감치
누운 잠자리
- 꿈을
꾸듯 선잠을 깨우는 손
- 나직이
알아들을 수도 없는 목소리
- 종아리를
어루만지는 따스한 손길
- 속에서
울컥 더운 무엇이 올라오고
- 뒤척이는
척 돌아눕는 등 뒤로
- 엷은
한숨 소리
- 이제야
알겠다
- 어머니의
회초리
-
- 온갖
실패와 불행을 겪으면서도 인생의 신뢰를 잃지 않는
사람은 대개 어머니의 품에서 자라난 사람들이다. 그래서
어머니는 위대한 스승이요, 대자연의 품이라고 감히
말하고 싶다.
- 한기주
시인의 시에서 자연을 닮은 어머니의 교훈을 배움으로써
한 인간의 휴머니즘을 논할 수 있다.
- 이
시는 그의 철학이요, 한 인간의 기록이 될 것이다.
- 필자
개인으로서도 시인이 6년에 걸쳐 추리고 추린 <가시꽃>의
발문을 쓰면서 자연과 인간 그리고 참(眞) 자아(我)를
찾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
- 이
책의 차례
-
- 1부
- 용문사
가는 길 _ 13
- 팔당대교
_ 14
- 진눈깨비
_ 16
- 안양천
오리 _ 17
- 가시꽃
_ 18
- 용기
_ 19
- 까치
마을 _ 20
- 하산
_ 21
- 동전
한 닢 _ 22
- 방파제
_ 23
- 시계
_ 24
- 눈
내리면 _ 25
-
- 2부
- 절벽
_ 29
- 민들레
홀씨 _ 30
- 하늘
_ 31
- 눈
_ 32
- 곳
_ 33
- 용문사
은행나무 _ 34
- 님을
향한 노래 _ 35
- 조장(鳥葬)
_ 36
- 고속도로
_ 38
- 같은
길은 없다 _ 39
- 없던
자 _ 40
- 그대와
난 _ 42
-
- 3부
- 바다와
나 _ 47
- 내가
먼저 _ 48
- 확실한
사실 _ 50
- 완전한
그대 _ 51
- 친구를
찾습니다 _ 52
|
- 가을
_ 53
- 타인
_ 54
- 봄
_ 55
- 지렁이의
해탈 _ 56
- 잡초
_ 57
- 목련
_ 58
- 산
_ 59
-
- 4부
- 장애물
_ 63
- 비상
_ 64
- 사랑
_ 65
- 나무
_ 66
- 먹구름
_ 67
- 상상
_ 68
- 산
중턱에서 _ 69
- 죽은
나무 _ 70
- 은행잎
_ 71
- 염불암
_ 72
- 길
_ 73
- 손곡지
_ 74
-
- 5부
- 어느
노인의 고백 _ 79
- 거미의
꿈 _ 80
- 그곳엔
_ 82
- 어머니의
해산 _ 84
- 어머니의
회초리 _ 86
- 고백
_ 88
- 벌레의
죽음 _ 90
- 갈대
_ 91
- 새
_ 92
- 변명
_ 93
- 원죄
_ 94
-
- 발문
_ 95
|
- 출판사
서평
-
- 가시도
님을 만나 사랑이 깊으면 꽃으로 피는 법이다
-
- 삶에
있어 같은 길은 없다
- 내가
지나온 길은 어느 누구도 똑같이 밟을 수 없으며
- 나
또한 어느 누구의 발자국도 똑같이 밟을 수 없다
- 같은
곳을 지나가는 수많은 사람들
- 발자국은
모두 다르다
-
- 꽃을
노래하고
- 꽃을
그리며
- 시를
짓는 일은
- 꽃을
모를 때에만 가능한 일이다
-
- ……………………….
-
- 꽃이
되고자 하는 님들의 정원에
- 작은
씨앗이 되었으면 하는
- 바람으로…
|
- 책속으로...
-
- 팔당대교
-
- 강물은
아무런 두려움 없이 흐르고
- 나는
그 강바닥 깊숙이 발을 묻고 섰다
-
- 중간
지점,
- 강물이
흘러온 곳과 흘러간 곳이
- 아득하다
-
- 나도
한때는 저 강물처럼
- 아무런
두려움 없이 흐르던
- 뛰는
가슴이 있었네
-
- 가버린
시간은 길었으나 순간으로 남고
- 오고
있는 시간은 발밑에 강물처럼
- 빠져나가네
-
- 퉁퉁
부풀어 감각을 잃어버린 다리를 딛고
- 찬
서리를 맞고 서 있다
|
- 타인
-
- 화장을 하고 길을
나선다
- 남들에게 들키지
않기 위해
- 지하철역 수많은
사람들나를 알아보지 못한다
- 하루에도 수없이
- 거울을 보며 화장을
고친다
- 해가 저물며 서서히
긴장을 푼다
- 몸은 지쳤으나 성공이다
- 화장을 지우고 거울
앞에 앉는다
- 거울 속에 낯선
얼굴
- 차갑게 돌아선다
-
-
-
|
시인
소개
- 시인 한기주
-
- 원주
부론면 손곡 출생
- 시집
<우리가 살아간다는 것은>
|
도서출판
띠앗, 도서출판 한솜미디어 (우:143-200)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243-22 대표전화 : 02-454-0492 | 팩스 : 02-454-0493 copyright (C)
1997-2008 ddiat, Hansom Inc.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