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명 
                                    : 도시 마케팅의 이해 
                                    *지은이 
                                    : 유 승 권
  
                                    *발행처 
                                    : 한솜미디어 
                                    *쪽 
                                      수 
                                    : 208쪽  
                                    *판 
                                      형 
                                    : 신A5(신국판)  
                                    *정 
                                      가 
                                    : 8,000원 
                                    *출판일 
                                    : 2006년 4월 30일 
                                    *ISBN 
                                      : 
                                    89-5959-032-0 03320 
 | 
   |   
            
              
              
                    | 
                            
                        이 책은?
                         
                            - 21세기 지역 
                            혁신 도시전략, 주거문제와 대안
                            
- 지금 사람들에게 
                            도시란 삭막하고 무거운 단지 추상적인 의미로 생각될지 
                            모르겠다. 
                            
- 하지만 앞으로의 
                            도시는 인간들과 가깝고 온화한 정감을 주는 공간으로 
                            거듭날 것이다. 
                            
- 분명히 도시는 인간과 
                            같이 성장하고 발전하는 생물과 같은 존재이자 나아가서는 
                            
                            
- 인간의 친구가 될 
                            것이다. 
                            
- 본서의 저자는 20여년 
                            동안 도시를 건설하면서 축적된 소중한 경험과 
                            
- 개인적으로 지향하는 
                            도시에 대한 청사진을 그렸다.
                        
        
                        
                              
                        출판사 서평
                            - 지금 한국의 도시는 
                            엄청난 소용돌이의 한가운데에서 방향을 잃고 헤매는 
                            배와 같다. 
                            
- 정책 입안자들은 
                            경제성장시대의 방식대로 무조건 구획을 나누고 건물을 
                            짓는 구시대적인 발상에만 집착하고 있다. 
                            
-  
                            
- 이제는 도시민들이 
                            어디에서 살고 싶어하는지, 어떤 주거환경을 원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진지하면서도 혁신적인 고민을 해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이런 점을 고민하면서 생각을 
                            정리해서 책으로 펴냈다.  
                        
     
                        
                              
                        본문 내용(발췌)
                            - 도시계획이란 도시의 
                            장래 개발구상을 계획하고 이를 시행하는 작업 활동으로 
                            도시 내 시설물과 기능과 활동들을 이미 계획된 목표에 
                            맞추어 공간적으로 배분하는 모든 행위(노춘희, 김일태 
                            2006)라 함으로써 공간에 대한 기획의 의미를 담는 
                            것으로 노춘희(1993)는 도시계획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  
                            
- 첫째, 내용면에서 
                            종합적 성격을 띤다. 근대적 의미의 도시계획은 그 
                            내용면에서 주로 도시기반시설, 즉 주택, 도로, 상하수도 
                            및 기타 공공시설 등의 조성을 내용으로 하는 물적 
                            계획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도시주민의 경제․사회적인 
                            삶의 내용도 공공부문에서 다루어야 할 필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도시환경을 구성하는 중요한 물리적 요소는 물론 
                            도시가 위치하는 지역적 차원에서 경제적․사회적 요소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이는 주변의 물리적 
                            환경개선을 통해 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는 
                            환경결정론이 주민의 생활양식이나 복지증진에 실패함으로 
                            인해, 도시계획에 사회계획뿐만 아니라 경제계획을 
                            포함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대 
                            도시계획은 종합계획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  
                            
- 둘째, 공간적 연계성이다. 
                            도시는 지역의 일부분이며, 지역은 국토의 일부분으로서, 
                            도시, 지역, 국토 이 세 가지는 공간적 계층을 형성하면서 
                            기능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도시계획은 이들 
                            공간계층의 최하위에 있기 때문에 상위 계획인 지역계획과 
                            국토계획의 영향을 받게 되고, 이러한 상위계획의 기본방향에 
                            따라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  
                            
- 셋째, 과정지향적 
                            특성을 띤다. 도시계획은 미래지향적이며, 목표지향적 
                            성격을 띠게 된다. 따라서 계획은 계획안과 달리 사회적 
                            여건 변화에 따라 계속적인 수정이 이루어지는 지속적인 
                            환류(feed-back)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  
                            
- 기존의 도시계획들의 
                            특성은 공간적 배분을 중심으로 하는 계획으로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한 진행형 계획이라 할 수 있다.
                            
                                 - - <도시계획> 
                                중에서 
                            
 
                                  
                        
                              
                        이 책의 차례
                            - 머리말 _ 5
                            
-  
                            
- 1. 도시전략 편
                            
- 세계속의 한국/15
                            
- 도시에 대한 정의/ 
                            19
                            
- 한국의 도시/ 29
                            
- 도시화/33
                            
- 서구의 도시기획전략 
                            모델/ 42
                            
- 도시기획에 민간의 
                            참여가 활발해졌다/ 45
                            
- 사전 사후 기획/ 
                            49
                            
- 도시계획/ 52
                            
- 도시 마케팅/ 54
                            
- 도시기획의 목적/ 
                            56
                            
- 도시기획의 방법/ 
                            59
                            
- 도시기획 단계/ 
                            62
                            
- 도시 수요자/ 71
                            
- 도시개발사업이란/ 
                            76
                            
- 사례분석/ 80
                            
- ▣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80
                            
- ▣ 함 평 (나비)/ 
                            82
                            
- ▣ 나 주 (멜론)/ 
                            85
                            
- ▣ 일본 비세초 
                            (별)/ 87
                            
- ▣ 일본 사가에 
                            (버찌)/ 89
                            
- ▣ 일본 나가사키 
                            (네덜란드)/ 90
                            
- ▣ 일본 도카치 
                            (와인)/ 92
                            
- ▣ 영국 에든버러 
                            (공연)/ 94
                            
- ▣. 프랑스 에비앙 
                            (물)/ 96
                            
-  
                            
- 2. 주거문제와 대안 
                            편
                            
- 정부가 주택시장에 
                            개입/ 101
                            
- 8.31과 3.30 대책/ 
                            104
                            
- 주택공급의 발전 
                            방향/ 112
                            
- 주택정책의 문제/ 
                            121
                            
- 도시의 주민은 주택 
                            수요자/ 128
                            
- 수요자 중심의 주택시장/ 
                            133
                            
- 주민들의 주거지 
                            문제점/ 137
                            
- ▣ 서울 집값 너무 
                            비싸다/ 137
                            
- ▣ 수도권 인구만 
                            증가한다/ 139
                            
- 수도권은 주택공급이 
                            더 필요하다/ 141
                            
- 주택의 보급과 주거면적/ 
                            145
                            
- 공급토지를 확대하자/ 
                            148
                            
- ▣ 현재 토지 활용도 
                            / 148
                            
- ▣ 임야와 농지의 
                            가치/ 150
                            
- 건축규제를 완화할 
                            필요성/ 153
                            
- 규제 완화의 부작용에 
                            대한 생각/ 158
                            
- ▣ 땅값의 상승/ 
                            158
                            
- ▣ 녹지 파괴/ 160
                            
- ▣ 난개발/ 161
                            
- 신도시와 기업도시//163
                            
- ▣ 신도시 건설/ 
                            163
                            
- ▣ 기업도시/ 164
                            
- 도시개발 : 싸나토리아를 
                            꿈꾸며/ 168
                            
- ▣ 주택의 기능과 
                            조건/ 169 
                            
- ▣ 웰빙은 기본이다 
                            / 170 
                            
- 도시 개발 형태/ 
                            74
                            
- ▣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174
                            
- ▣ 도시재개발/ 
                            179
                            
- ▣ 실버타운/ 181
                            
- 개발사례/ 185
                            
- ▣ 실버타운 : 선시티 
                            웨스트/ 185
                            
- ▣ 인천 경제자유구역 
                            : 송도 국제도시/ 187
                            
- ▣ 대전시의 재개발 
                            사례/ 191
                            
- 부록/ 195
                            
- <표 1> 인구 
                            천명당 주택 수 통계표/ 197
                            
- <표 2> 지목별 
                            토지이용 현황/ 198
                            
- <표 3> 주요 
                            지목별 면적 변동추세/ 200
                            
- <표 4> 전국 
                            지방단체별 인구추이/ 201
                            
- <표 5> 주택정책의 
                            주요 변천 과정/ 205
                            
- 참고문헌/ 208 
                        
                                                                      
                        
                              
                        이 책의 지은이 소개
                            - 20여년간 실무에서 
                            일한 건설시행사업
                            전문가이다. 
                            
- 현재 주)도시마케팅그룹의 
                            대표이사이며, 도시학, 도시마케팅 등 
                            
- 다양한 연구를 위해 
                            도시마케팅 포럼에 참여하고 있다. 
                            
- 64년 서울/84년 
                            풍기주택 대표/89년 태창건설 대표/
                            
- 2000년 신승플래닝 
                            대표/ 2006년 도시마케팅 대표이사
                            
- 2003년 동국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수료
                            
- 도시마케팅포럼 
                            상임이사
  
                                
                        
* 본 도서는 전국 유명서점에서 절찬리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back 
                                                                                                                                                                                                         | 
 
 
  
  
    | 
                          도서출판 
                        띠앗, 도서출판 한솜미디어 (우:143-200)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243-22    대표전화 : 02-454-0492 | 팩스 : 02-454-0493  copyright (C) 
1997-2006 ddiat, Hansom Inc.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