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명
: 하늘에 소나무 향기가 있어 잔잔하다
*지은이
: 박 재 근
*발행처
: 도서출판 띠앗
*쪽
수
: 104쪽
*판
형
: A5(시집판형) / 반양장본
*정
가
: 5,000원
*출판일
: 2002년 9월 25일
*ISBN
:
89-89558-52-2 03810
|
|
- 시평
- 콘크리트 바닥에
핀 야생화, 그 삭막함 속에 가냘픈 미학을 읽는다.
- - 김태일(작가․
풍자문학 발행인 겸 편집인)
-
- 박재근 시인으로부터
발문을 써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 솔직히 말해서 나는
그를 잘 모른다. 하지만 사람에게 알고 모르고가 뭐가
그리 중요하겠는가.
- 처음부터 알고 지내는
사이는 없지 않는가.
- 화가는 그림으로
자신을 말하고 시인은 시로 자신을 나타내면 그만이리라.
-
- 필자는 누구보다도
많은 작품을 탐독해 왔다. 벌써 몇 십 년 넘게 나 자신의
작품 활동을 하면서
- 편집일을 하다 보니
자연히 그렇게 된 것이다.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새로운
작품을 대할 때마다
- 필자는 가슴이 두근거린다.
이번에는 이 하얀 지면에 어떤 ‘요술의 글’이 올라와
춤을 출까하면서
- 잔뜩 기대하고는
한다.
-
- 이번에도 박재근
시인의 시를 접하고 나름대로 느낌이 컸다. 그의 <시인의
말>에서도 밝혔듯이
- 그저 시가 좋아서
2년 여 여행을 하면서 이 시들을 썼단다. 그래서 그런지
시 한 편 한 편이 모두가 생동감을 느끼게 한다.
-
- 한 사람 희고
곱게 걸어오더니
- 그 노래 소리
잠시 듣고는
- 저기 등불 고이
들고 바다로 간다.
- -<저기 저
집 등불 하나 켜두고 노래한다> 부분
-
- 마치 이 시어는
읽는 이로 하여금 바다로 들어오라고 유혹의 손짓을
하는 듯하다.
- 그런가 하면 자연의
풍요를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여 작품으로 승화시킨
시인은
- 안개 낀 지리산을
이렇게 노래했다.
-
- 흰 천을 뒤집어쓴
식장의 신부 같은
- 지리산
-
- <중략>
-
- 내 생각은
- 이렇게 젖다보면
- 나도 한 방울
비가 되어 떨어지지 않을까
- 누군가 물으면
- 이곳이 끝인
줄 몰랐다고
- 그렇게 사랑하는
것이라고
-
- 그제야 지리산은
내 이마에서 안개를 때어낸다.
- - <안개
낀 지리산을 오르며> 부분
-
- 우리에게 한때 시인은
가난의 대명사였다. 하지만 이제는 세상이 변했나보다.
- 시인의 노래는 어느
듯 작은 여유로움이 숨어있다.
- 매화라는 작품은
아름다운 여인을 보면서 사랑의 여유를 느낄 수 있다.
-
- 잘했소
- 당신이 매화이길
잘했소
-
- 나 매화였다면
- 따뜻한 봄에
- 꽃 피우리오
- 당신이 매화이길
잘했소.
- - <매화>
-
- 이 작품에서 우리는
사랑의 여유를 느낀다. 그래서 시인에게도 쫓기지 않는
풍요가 있다고 말한다.
- 여러 시인의 많은
작품이 사랑이 주제였다면 박재근 시인의 시는 휴머니스티라는
인간애를
- 발동하게 하는 순수한
정열의 작품이라고 말하고 싶다.
-
- 모든 인간의 사랑이
마음에서 시작했다면 이 작품에 실려 있는 시는 자연과
인간, 넓음과 좁음,
- 사람과 부딪기면서
탄생했으리라. 그만이 떠난 외로운 여행을 다니면서
말이다.
- 그렇다고 박재근
시인의 작품이 독자들에게 결코 쉽게 읽힌다고는 말하지
않는다.
- 건강한 시편은 완전히
숙성된 그리고 잘 빚은 술처럼 깊은 맛과 향이 나는
법이다.
-
- 박재근 시인이 빚은
한편 한편의 시들은 풋풋한 인간애를 느끼게 할지는
모르지만 투박함이 있다.
- 그래서 싱그러운
아름다운 여인의 모습은 아니다. 하지만 그 투박함이
있어 오히려 읽는 이로 하여금 그에게 친숙함이 들게
하여 한 발 더 가까이 갈 수 있을 것만 같다.
-
- 이 시에서 우리는
인간이 아닌, 자신만이 걸어야 할 길을 걷는 것을 연습해
보자.
- 삶은 결코 연습이
없다. 하지만 이 시로 하여금 그 끝 간 곳 없는 인간의
삶의 길을
- 연습 삼아 걸어가
보자.
|
- 책속으로...
-
- 시가
좋아 시를 쓰고 싶어
- 2년 동안 여행을
하며 시를 썼다.
- 언젠가 버려진 소금
가마니의 소금은
- 외상을 입지 않은
그 가마니의 소금은
- 녹아 버리고 없었다.
- 나의 시에 그 동안
풀어놓은
- 나의 숱한 감정들이
녹아있길 바란다.
- - <시인의
말> 중에서
|
- 이
책의 차례
-
- 제1부
- 외나무다리 위에서
/ 13
- 들꽃 / 15
- 소나무 숲 / 16
- 개구리 울음소리에
/ 18
- 민들레 / 19
- 이런 X X / 20
- 저기 저 집 등불
하나 켜두고 노래한다 / 21.
- 돌밭 해수욕장 /
22
- 늙은 광부의 죽음
앞에서 / 23
- 빈 둥지 / 24
- 논둑 길 위 사람
/ 25
- 안개 낀 지리산을
오르며 / 26
- 떠나고 싶은 날
/ 27
- 누운 들풀처럼 /
28
- 갈매기와의 대화
/29
- 어느 섬에서 나는
이토록 많을 걸 배웠지만 /31
- 피지 않은 꽃 /
32
|
- 제2부
- 후레쉬가 터지는
짧은 순간에 / 35
- 섬 /36
- 너에게로 간다 /
37
- 오늘은 만나고 내일은
사랑하고 싶다 / 38
- 강가에서 / 39
- 네모난 지구 위에서
/ 40
- 작은 고구마 앞에서
/ 41
- 오징어 배에서 /
42
- 앉은뱅이 꽃 / 43
- 중독자 / 44
- 순수 / 45
- 매화 / 46
- 똥 냄새 / 47
- 가슴에 당신을 묻고는
/ 49
- 토끼와 거북이 /
50
- 자전 / 51
- 지붕에 맨다 / 52
- (이하 생략)
|
시인
소개
- 시인 박재근는
- 1976년 4월 15일(음) 경북 청송 출생
- 청송 초•중•고등학교 졸업
- 대구 영남 이공대학 졸업
- e-mail : root1023@hanmail.net
- 2002년 9월 방황과 노동의 대가로 첫 번째 시집을 펴냅니다
*
본 도서는 교보, 영풍문고 등 전국 유명서점에서 구입하실
수 있습니다. back
홈으로
바로가기
|
도서출판
띠앗, 도서출판 한솜미디어 (우:143-200)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243-22 대표전화 : 02-454-0492 | 팩스 : 02-454-0493 copyright (C)
1997-2007 ddiat, Hansom Inc. All rights reserved.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