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명 
                                    : 규명 <인류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명리학> 
                                    *지은이 
                                    : 안 성 재 
                                    *발행처 
                                    : 도서출판 한솜미디어 
                                    *쪽 
                                      수 
                                    : 511쪽 / 반양장본 
                                    *판 
                                      형 
                                    : 신A5(신국판)  
                                    *정 
                                      가 
                                    : 27,000원 
                                    *출판일 
                                    : 2008년 8월 25일     <홈으로 가기> 
                                    *ISBN 
                                      : 
                                    978-89-5959-164-0 13150 
 | 
   |   
            
              
              
                
                        
                            
                                  이 
                        책은? 
                             
                             
                            
                                 - 나의 운명을 
                                예언한다
                                
- 인류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명리학, 규명
                            
  
                         
                        
                            - 이제는 명리학이 
                            음지에서 양지로 거듭나는 시대가 도래되었다. 
                            
- 그 결과 많은 대학원에서 
                            명리학을 연구하고 분석하며 논문을 발표하는 등 
                            
-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 과거 5년 전까지만 
                            해도 인정을 받지 못했던 명리학이 
                            
- 이제 각 대학의 
                            평생교육원에서 생활역학으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가 
                            하면, 
                            
- 대학원에서는 이미 
                            석사 학위자들이 배출되고 있다. 
                            
- 국내 2년제 대학과 4년제 
                            대학에서 명리학과가 개설되어 인정받고 있다는 것은 
                            
                            
- 주목할 만한 성과이며 
                            노력의 결과이다.  
                            
- 또한 국가로부터 
                            교육학으로 인정받았다는 것에 대해 
                            
- 명리학의 미래는 
                            크게 성장할 것이라 예견하며 
                            
- 이제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에도 정착될 것으로 보인다.
                            
-  
                            
- 본 도서의 특징은?
                            
- ●세운 천간지지와 
                            나는 어떤 작용을 하고 있을까?
                            
- ●무슨 일로 왔는가를 
                            알 수 있다면?    
                            
- ●일주론을 통한 
                            성격분석과 직업에 대해 상세하게 기록!
                            
- ●한번 책을 보게 
                            되면 완독할 수 있도록 현대적 언어로 표현!   
                            
- ●초보자, 전문가가 
                            알기 쉽게 볼 수 있는 교재!
                            
- ●전국 대학의 학과 
                            안내와 학교 위치 수록!
                            
-  또한 본서에서는 래정법(來情法)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수록하였다. 
                        
                     
 |  
              
              
                
                        
                              책속으로...
                            -  
                            
- 격국의 명칭과 의미는 
                            하나의 사주 구성이 완결된 후 일간오행에게 월지 지장간 
                            중 유력한 존재를 대입하는 것이며, 이 대입된 각각의 
                            형태를 놓고 격을 갖추었다는 의미로 격국이라 하고 
                            각각의 형태에 따라 십성의 명칭을 사용하게 된 것이다.
                            
- 또한 格을 통하여 
                            사주 그릇의 크기와 부귀빈천의 무게를 가늠할 수 있는 
                            기본적인 짜임새를 말한다. 각 사람에 따라 격국을 
                            용신으로 사용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격국과 용신이 
                            분류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  
                            
- 1) 격(格)이 
                            설정되는 과정
                            
- ●격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주의 ‘월령’을 살펴야 한다.
                            
- ●일주가 어떤 계절에 
                            출생했는가를 보고 월령의 지장간(地藏干) 중 천간(天干)으로 
                            투출된 것을 格으로 사용한다. 
                            
- ●사령하고 있는 
                            월령의 진가(眞假) 여부를 파악한 후 청(淸), 탁(濁)을 
                            구분한다.
                            
- ●신강과 신약을 
                            판단하여 격과 조화로운 용신을 정하도록 한다.
                            
- ●적천수(適天髓) 
                            수미(隨微)에서는 양인(羊刃)과 록(綠)은 격으로 취할 
                            수 없다고 하였다.
                            
- ●이에 대한 학술이 
                            현재 논의되고 있으나 ‘격국용신정의’의 저자 김배성 
                            교수의 논리는 달리 해석하였다.
                            
- ●즉 일간에서 月支의 
                            정기(正氣)나 중기(中氣), 또는 여기(餘氣) 중에서 
                            투출된 간(干)으로 비견(比肩), 겁재(劫財)를 십성의 
                            명칭(名稱)으로 격(格)을 못 정할 이유가 없다고 견해를 
                            밝혔다(격국용신정의, 청학출판사 : 격국용신 이행 
                            中에서).
                            
- ●또 다른 서적을 
                            통해서도 이 사항에 대해 논의가 많으나 명통부에서 
                            양인격을 인정하여 양인인 겁재를 양인격으로 하니 
                            두 가지 다 올바른 방법이다. 
                            
- ●비견격을 명통부에서는 
                            시(時)에 비견이 딱 한 개만 있으면 이를 일록귀시격(日綠貴時格)으로 
                            취용하였고 삼록격(三綠格)을 사용해 왔으니 월지에 
                            비견을 두고 천간에 투출한 것이 비견일 경우(천간 
                            3개) 이를 삼록격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면 현대의 시대에서도 
                            비견격(比肩格), 겁재격(劫財格)이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에 동감을 한다. 
                            
-  
                            
- 2) 월지의 영향력
                            
- ●육십갑자(六十甲子)로 
                            구성된 것은 陰, 陽과 五行의 구조물이 된다.
                            
- ●인간의 모태는 
                            어머니로 되는데 여자는 陰이고 달이며, 이를 합하는 
                            陽을 아버지이며 태양이라 한다.
                            
- ●그 과정에서 내가 
                            태어난 계절이 태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모체를 통해 
                            세상 밖으로 나온 것이 계절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태양으로부터 가까운 계절이냐 먼 계절이냐에 기온차이를 
                            주관하는 것이 곧 월지라 한다.
                            
- ●월지의 지장간에서 
                            투출된 간(干)을 격으로 삼는 것도 그 계절에서 일간에게 
                            주관되어진 것이 무엇인가에 따라 기본적 성향을 갖게 
                            되는가를 판단하고자 함이다.
                            
- ●대운 역시도 계절과 
                            맞물려 일간인 나의 미래가 어느 계절로 향하는 가와 
                            대비하여 이치를 밝히는 것이다. 
                            
                                 - -본문 제1장 
                                <격국용신의 이해> 중에서
                            
 
                                              
 |  
                
                
                        
                              출판사 
                        서평
                            -  
                            
 - 나의 운명을 
                            미리 알고 세상을 산다면 천하에 두려울 것이 없으리라!
                            
-  
                            
- 인간의 운명을 논하는 
                            데에는 대운(大運)과 세운의 작용이 너무나 중요하고 
                            변화가 많으면서도 가장 먼저 인간에게 피흉취길(避凶取吉)을 
                            알려줄 곳이 바로 태세(太歲)와 대운(大運)이라는 데에는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 
                            
-  
                            
- 그러면서도 많은 
                            서적에서는 태세와 대운과의 관계 그리고 일간과의 
                            관계를 명쾌하게 내놓지 않았다. 이에 본서의 필자는 
                            상황전개를 보다 한 단계 진보된 학술로 내놓을 수 
                            없을까 고민해 보던 중 먼저 일간(日干)과 태세(太歲)에서 
                            작용되는 것을 그간 임상한 내용을 토대로 기록했다. 
                              
                            
                        
      
 | 
                 
                
                
                        
                              이 
                        책의 차례
                             
                            - ■ 책을 지으면서 
                            _ 5
                            
-  
                            
- 제1장  명리학의 
                            발전사
                            
- 1. 역(易)의 기원         
                            29
                            
- 1) 역리(易理)학의 
                            기원   29
                            
- 2) 황제내경      
                            29
                            
- 3) 역경(易經)    
                            30
                            
- 4) 사주(四柱)명리(命理)학        
                            31
                            
-  
                            
- 2.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연구     33
                            
- 1) 태극설(太極設)        
                            34
                            
- 2) 오행설(五行說)        
                            35
                            
-  
                            
- 3. 명리학(命理學)의 
                            발전 과정    36
                            
- 1) 명리학의 발전 
                            과정    36
                            
- 2) 한국 역사의 
                            시원(始原)        
                            37
                            
- 3) 한국 역학의 
                            명인      38
                            
- 4) 명리학의 학계 
                            진출과 미래 전망        
                            38
                            
-  
                            
- 제2장  명리학의 
                            기초원리
                            
- 1. 천간(天干)지지(地支)  
                            41
                            
- 1) 간지 해설     
                            41
                            
- 2) 십천간(十天干)        
                            41
                            
- 3) 십간(十干)의 
                            해설     42
                            
- 4) 십간론(十干論)        
                            43
                            
- (1) 갑목(甲木) 
                            / 43
                            
- (2) 을목(乙木) 
                            / 44
                            
- (3) 병화(丙火) 
                            / 45
                            
- (4) 정화(丁火) 
                            / 46
                            
- (5) 무토(戊土) 
                            / 47
                            
- (6) 기토(己土) 
                            / 48
                            
- (7) 경금(庚金) 
                            / 49
                            
- (8) 신금(辛金) 
                            / 50
                            
- (9) 임수(壬水) 
                            / 51
                            
- (10) 계수(癸水) 
                            / 52
                            
- 5) 천간(天干)의 
                            심리(心理)       53
                            
- (1) 십간의 심리 
                            / 53
                            
- 6) 천간(天干) 합(合), 
                            충(冲) 해설         
                            59
                            
- (1) 천간(天干)의 
                            합(合) / 59
                            
- (2) 천간(天干)의 
                            충(冲) / 62
                            
- (3) 천간충에서 
                            오는 질병(疾病) / 62
                            
-  
                            
- 2. 십이(十二)지지        
                            63
                            
- 1) 12지지론      
                            63
                            
- (1) 12지지 도표 
                            / 63
                            
- (2) 12지지의 해설 
                            / 64
                            
- 2) 지지의 합(合), 
                            충(冲), 형(刑), 파(破), 해(害) 해설     
                            68
                            
- (1) 지지의 합(合) 
                            / 68
                            
- ) 지지(地支)의 
                            충(冲) / 71
                            
- (3) 지지(地支)의 
                            형(刑) / 75
                            
- (4) 지지(地支)의 
                            파(破) / 76
                            
- (5) 지지(地支)의 
                            해(害) / 77
                            
-  
                            
- 3. 공망(空亡)의 
                            원리     78
                            
- 1) 공망이란 / 78
                            
- 2) 공망의 원리 
                            / 78
                            
- 3) 공망의 의미 
                            / 79
                            
- 4) 공망의 작용(作用) 
                            / 80
                            
- 5) 해당 육친이 
                            공망일 때 / 80
                            
- 6) 공망 방위 해설 
                            / 81
                            
-  
                            
- 4. 사주팔자의 구성       
                            82
                            
- 1) 사주 구성의 
                            원리      82
                            
- (1) 근(根), 묘(苗), 
                            화(花), 실(實) 해설 / 82 
                            
- (2) 도표 / 83
                            
- 2) 사주 세우기   
                            84
                            
- (1) 년주 작성법 
                            / 84
                            
- (2) 월주 작성법 
                            / 85
                            
- (3) 일주 작성법 
                            / 87
                            
- (4) 시주 작성법 
                            / 88
                            
- (5) 천간을 정하는 
                            시두법 / 89
                            
- (6) 야자시(夜子時)와 
                            조자시(朝子時) 구별법 / 89
                            
- (7) 지역별 시간 
                            구분표 / 91
                            
- 3) 대운(大運)의 
                            설정     92
                            
- (1) 대운 작성법 
                            / 92
                            
- (2) 소운(세운)의 
                            작성법 / 96
                            
- 4) 지장간(地藏干)의 
                            이해         
                            99
                            
- (1) 지장간 / 99
                            
- (2) 지장간 절기 
                            분포도 / 100
                            
-  
                            
- 5.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101
                            
- 1) 음양오행론(陰陽五行論)        
                            101
                            
- (1) 음양 / 101
                            
- 2) 오행이란      
                            101
                            
- 3) 오행의 성품과 
                            속성    102
                            
- 4) 오행의 상생과 
                            상극    103
                            
- (1) 오행의 상생관계 
                            / 103
                            
- (2) 오행의 상극관계 
                            / 104
                            
-  
                            
- 제3장  명리학의 
                            육신(六神)법
                            
- 1. 육신(六神)의 
                            원리     107
                            
- 1) 육신의 개요   
                            107
                            
- 2) 육신의 종류   
                            107
                            
- 3) 육신의 원리 
                            해설      108
                            
- 4) 육신 도표     
                            110
                            
- (1) 도표 木 / 110
                            
- (2) 체용론(體用論) 
                            / 113
                            
- 5) 육신에 따른 
                            육친론(六親論)    114
                            
-  
                            
- 2. 육신(六神)의 
                            작용력   116
                            
- 1) 육신의 이해   
                            116
                            
- (1) 비겁(비견, 
                            겁재) / 116
                            
- (2) 식상(식신, 
                            상관) / 117
                            
- (3) 재성(편재, 
                            정재) / 118
                            
- (4) 관성(편관, 
                            정관) / 119
                            
- (5) 인성(정인, 
                            편인) / 121
                            
-  
                            
- 2) 십신(十神, 十星)의 
                            작용       122
                            
- (1) 비견(比肩) 
                            : 동질과 독립성 주관 / 122
                            
- (2) 겁재(劫財) 
                            : 이질과 독단성 주관 / 125
                            
- (3) 식신(食神) 
                            : 희생과 창조성 주관 / 127
                            
- (4) 상관(傷官) 
                            : 예술과 정신성 주관 / 129
                            
- (5) 편재(偏財) 
                            : 탐재와 유동성 주관 / 130
                            
- (6) 정재(正財) 
                            : 노력과 실리성 주관 / 133
                            
- (7) 편관(偏官) 
                            : 결단과 행동성 주관 / 134
                            
- (8) 정관(正官) 
                            : 규범과 합법성 주관 / 136
                            
- (9) 편인(偏印) 
                            : 재치와 추구성 주관 / 138
                            
- (10) 정인(正印) 
                            : 의무와 수용성 주관 / 139
                            
- 3) 십성(十星)의 
                            상관관계(相關關係)       
                            142
                            
- (1) 도표 / 142
                            
- (2) 요약(要約) 
                            / 143
                            
-  
                            
- 3. 십신 강약에 
                            의한 논리론       
                            144
                            
- 1) 비견(比肩)의 
                            강, 약에 의한 판단법     144
                            
- (1) 비견이 많고 
                            신강하면 / 144
                            
- (2) 비견이 많고 
                            신약하면 / 145
                            
- (3) 비견이 약하고 
                            신강하면 / 145
                            
- (4) 비견이 약하고 
                            신약하면 / 146
                            
- 2) 겁재(劫財)의 
                            강, 약에 의한 판단법     147
                            
- (1) 겁재가 많고 
                            신강할 때 / 147
                            
- (2) 겁재가 많고 
                            신약할 때 / 147
                            
- (3) 겁재가 약하나 
                            신강사주일 때 / 148
                            
- (4) 겁재가 약하고 
                            신약사주일 때 / 149
                            
- 3) 식신(食神)의 
                            강, 약에 의한 판단법     150
                            
- (1) 식신이 많고 
                            신강할 때 / 150
                            
- (2) 식신이 많고 
                            신약할 때 / 150
                            
- (3) 식신이 약하고 
                            신강사주일 때 / 151
                            
- (4) 식신이 약하고 
                            신약사주일 때 / 152
                            
-  
                            
- 4) 상관(傷官)의 
                            강, 약에 의한 판단법     153
                            
- (1) 상관이 많고 
                            신강사주일 때 / 153
                            
- (2) 상관이 많고 
                            신약사주일 때 / 154
                            
- (3) 상관이 약하나 
                            신강사주일 때 / 154
                            
- (4) 상관이 약하고 
                            신약사주일 때 / 155
                            
- 5) 편재(偏財)의 
                            강, 약에 의한 판단법     156
                            
- (1) 편재가 많고 
                            신강사주일 때 / 156
                            
- (2) 편재가 많고 
                            신약사주일 때 / 157
                            
- (3) 편재가 약하나 
                            신강사주일 때 / 157
                            
- (4) 편재가 약하고 
                            신약사주일 때 / 158
                            
- 6) 정재(正財)의 
                            강, 약에 의한 판단법     158
                            
- (1) 정재가 많고 
                            신강사주일 때 / 158
                            
- (2) 정재가 많고 
                            신약사주일 때 / 159
                            
- (3) 정재가 약하나 
                            신강사주일 때 / 160
                            
- (4) 정재가 약하고 
                            신약사주일 때 / 160
                            
- 7) 편관(偏官)의 
                            강, 약에 의한 판단법     161
                            
- (1) 편관이 많고 
                            신강사주일 때 / 161
                            
- (2) 편관이 많고 
                            신약사주일 때 / 162
                            
- (3) 편관이 약하나 
                            신강사주일 때 / 163
                            
- (4) 편관이 약하고 
                            신약사주일 때 / 164
                            
- 8) 정관(正官)의 
                            강, 약에 의한 판단법     165
                            
- (1) 정관이 많고 
                            신강사주일 때 / 165
                            
- (2) 정관이 많고 
                            신약사주일 때 / 165
                            
- (3) 정관이 약하나 
                            신강사주일 때 / 166
                            
- (4) 정관이 약하고 
                            신약사주일 때 / 167
                            
- 9) 편인(偏印)의 
                            강, 약에 의한 판단법     168
                            
- (1) 편인이 많고 
                            신강사주일 때 / 168
                            
- (2) 편인이 많고 
                            신약사주일 때 / 169
                            
- (3) 편인이 약하나 
                            신강사주일 때 / 170
                            
- (4) 편인이 약하고 
                            신약사주일 때 / 171
                            
- 10) 정인(正印)의 
                            강, 약에 의한 판단법    172
                            
- (1) 정인이 많고 
                            신강사주일 때 / 172
                            
- (2) 정인이 많고 
                            신약사주일 때 / 172
                            
- (3) 정인이 약하나 
                            신강사주일 때 / 173
                            
- (4) 정인이 약하고 
                            신약사주일 때 / 174
                            
-  
                            
- 제4장  사주강약 
                            판단법
                            
- 1. 기세의 판단   
                            177
                            
- 1) 오행의 왕(旺), 
                            상(相), 휴(休), 수(囚), 사(死)         
                            177
                            
- 2) 통근과 강약의 
                            이해    178
                            
- 3) 득령(得令), 
                            득지(得支), 득세(得勢) 편         
                            178
                            
- (1) 득령(得令) 
                            / 179
                            
- (2) 득지(得支) 
                            / 180
                            
- (3) 득세(得勢) 
                            / 181
                            
- 4) 일주의 강약 
                            조건      182
                            
-  
                            
- 2. 사주강약의 판단       
                            183
                            
- 1) 신강사주      
                            183
                            
- (1) 신강사주의 
                            조건 / 183
                            
- 2) 신약사주      
                            183
                            
-  
                            
- 제5장  용신(用神)
                            
- 1. 용신(用神)    
                            187
                            
- 1) 용신의 정의   
                            187
                            
- 2) 용신이란      
                            187
                            
- 3) 용신의 자격 
                            요건      188
                            
- 4) 용신 취용하는 
                            방법    189
                            
- 5) 용신의 분류   
                            192
                            
- (1) 억부용신(抑扶用神) 
                            / 192
                            
- (2) 조후용신(調候用神) 
                            / 194
                            
- (3) 조후용신 조견표 
                            / 196
                            
- (4) 통관용신(通關用神) 
                            / 197
                            
- (5) 병약용신(病藥用神) 
                            / 198
                            
- 6) 용신의 역할   
                            199
                            
- 7) 위치별 용신의 
                            작용    199
                            
- (1) 년주가 용신에 
                            해당하면 / 199
                            
- (2) 월주가 용신에 
                            해당하면 / 199
                            
- (3) 일지가 용신에 
                            해당하면 / 200
                            
- (4) 시주가 용신에 
                            해당하면 / 200
                            
-  
                            
- 제6장  격국용신(格局用神) 
                            
                            
- 1. 격국용신 적용 
                            범위    203
                            
- 1) 명리약언      
                            203
                            
- 2) 자평진전      
                            203
                            
- 3) 적천수        
                            204
                            
-  
                            
- 2. 격국용신의 이해       
                            205
                            
- 1) 격(格)이 설정되는 
                            과정        205
                            
- 2) 월지의 영향력         
                            206
                            
-  
                            
- 3. 내격(內格)의 
                            취용(取用)법     208
                            
- 1) 내격론(內格論)        
                            208
                            
- 2) 내격(內格)의 
                            종류     208
                            
- 3) 내격(內格) 해설       
                            209
                            
- (1) 건록격(建綠格) 
                            / 209
                            
- (2) 양인격(羊刃格) 
                            / 210
                            
- (3) 식신격(食神格) 
                            / 211
                            
- (4) 상관격(傷官格) 
                            / 212
                            
- (4)-1. 가상관격(假傷官格) 
                            / 214
                            
- (5) 편재격(偏財格) 
                            / 214
                            
- (6) 정재격(正財格) 
                            / 215
                            
- (7) 정관격(正官格) 
                            / 216
                            
- (8) 편관격(偏官格) 
                            / 218
                            
- (9) 편인격(偏印格) 
                            / 219
                            
- (10) 정인격(正印格) 
                            / 219
                            
-  
                            
- 4. 외격론(外格論)        
                            221
                            
- 1) 외격이란      
                            221
                            
- (1) 종격(從格) 
                            / 221
                            
- (2) 일행득기격(一行得氣格) 
                            / 226
                            
- (3) 화기격(化氣格) 
                            / 230
                            
-  
                            
- 제7장  계절론(季節論) 
                            
                            
- 1. 조후(調候) 희기론(喜忌論)     
                            237
                            
- 1) 일간과 계절론         
                            238
                            
- (1) 甲(木)이 일간인 
                            경우 / 238
                            
                                                                                                                                                                                                                                                       |    |